![]() ▲ 국회 본관앞 계단에서 © 조오련 |
야당인 국민의힘이 국회 본관 앞에서 대규모 규탄 집회를 열었다. 현장에는 지도부와 소속 의원, 당원과 지지자 등 수천 명이 운집해 여당이 추진 중인 ‘3대 특검법(내란·김건희·해병대 사건 등)’을 강력히 비판했다.
참가자들은 “야당말살 특검악법 결사반대”, “정치보복 중단하라”, “대통령은 거부권을 행사하라” 등의 구호를 1~2분 간격으로 외쳤으며, 발언자들은 “이 법이 통과되면 대한민국은 독재로 간다”는 자극적 표현을 수차례 반복했다.
“적어도 대한민국을 대표한다는 정당이 헌법이 보장한 집회의 자유를 사익 도구로 전락”
현장을 지켜본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은 이번 집회를 단순한 야당의견 표출로 보지 않았다.
정치심리학적 분석에 따르면 이 집회는 대표성·가용성·정서 휴리스틱을 극도로 자극하는 방식으로 기획돼, 사실과 논리보다 규모와 분위기·분노가 판단을 지배하도록 설계된 조직적 선동이었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규모 군중을 동원해 공포와 분노를 반복적으로 주입함으로써 합리적 판단을 마비시킨 것은 헌법이 보장한 집회의 자유를 사익과 권력 복귀를 위한 방패로 왜곡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민주주의 근간 흔드는 ‘조직적 기만·오도·선동’
현장에 참석한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정치 집회라는 형식을 빌렸을 뿐, 내용은 대중 기만과 계획적 오도, 반민주적 폭거”라며 “야당이 책임 있는 대안을 제시하기보다 분노를 정치적 자산으로 삼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전문가도 “국민의힘은 이번 집회를 통해 여당을 ‘악법 강행 세력’으로 낙인찍는 동시에 자신들의 정치적 안위를 지키려는 노골적 권력 복귀 전략을 노출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9월 12일 국회 본관 앞 국민의힘 집회는
헌법이 보장한 집회의 자유를 ‘자유의 탈을 쓴 권력 유지 장치’로 변질시키며 선량한 시민의 분노를 정치적 도구로 삼은 조직적 기만과 계획적 선동의 현장으로 기록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