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공정 없이 소량의 첨가제만으로 막힌 길을 뚫어 이온이 고속도로를 달리는 것처럼 빠르게 흐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고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실험을 통해 유연성과 내구성이 검증되어 소형화와 유연화가 핵심이 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전북분원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의 김남동 책임연구원·주용호 선임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 이진우 교수 공동연구팀은 3일 "소량의 첨가제만으로 이온전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에 개발한 고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은 안전성과 유연성, 에너지 효율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비정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핵심 소재"라며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에너지 문제 해결에 중요한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참고로, '이온전도도'는 전해질 내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이 전기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류를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단위는 S/cm(시멘스 퍼 센티미터)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