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쿠폰 등 영향으로 소비가
2.5% 늘면서29개월 만에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생산·투자도 늘며'트리플 증가세'를 보였다.기획재정부는 지난 7월 산업활동 중 생산은 전월 대비 광공업 0.3%, 서비스업 0.2% 공공행정 2.8% 늘면서 전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3%, 전년동월 대비 1.9% 증가했다고 29일 밝혔다.
건설업(-1.0%)에서 줄었지만 광공업(0.3%), 서비스업(0.2%), 공공행정(2.8%)에서 모두 늘어 지난 6월(1.2%)에 이어 2개월 잇달아 상승했다.
광공업은 전월 기저 영향 등으로 반도체(-3.6%), 자동차(-7.3%)가 감소했으나, 전자부품(20.9%)·기계장비(6.5%) 등이 늘며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6.0%), 전문과학기술(-2.5%) 등에서 줄었으나 도·소매(3.3%), 정보통신(3.1%) 등에서 늘었다.
소매판매는 내구재(5.4%), 준내구재(2.7%), 비내구재(1.1%) 판매가 모두 늘며 2023년 2월(6.1%) 이후 29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 ▲ 기획재정부 페이스북 소식그림 |
업태별로는 전문소매점(4.7%), 무점포소매(2.5%), 편의점(3.8%) 등은 늘었고 대형마트(-1.6%), 면세점(-13.3%) 등은 줄었다.
설비투자는 일반산업용 기계 중심으로 기계류(3.7%)가 증가한 가운데, 자동차, 항공기 등 운송장비(18.1%)가 크게 늘며 7.9% 증가했다.
건설기성은 토목(10.1%) 증가에도 건축(-4.8%)이 줄며 소폭 감소(-1.0%)했으며, 건설수주(경상)는 기계설치 등 토목(-14.6%)에서 줄었지만 주택 등 건축(45.7%)에서 늘어 전년 동월 대비 22.4% 증가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소매판매액지수와 건설기성액 등이 늘었으나, 내수출하지수와 수입액 등이 줄어 99.0으로 전월보다 0.1p 하락했다.
향후 경기 흐름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기계류내수출하지수와 수출입물가비율이 줄었으나, 코스피, 장단기금리차 등이 늘어 101.5로 0.5p 상승했다.
정부는 이번 달 소비심리가 7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대미 관세협상 타결 등으로 기업심리가 반등하는 등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신호도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어렵게 되살린 내수 회복 모멘텀을 확산할 수 있도록 추경 사업을 신속히 집행하고, 지방중심 소비·건설 활성화와 추석연휴·APEC 정상회의 계기로 내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미국 관세협상 후속조치에 힘쓰고 우리 기업의 피해 지원을 위한 추가 보완방안도 다음 달 중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AI 대전환·초혁신경제 30대 선도프로젝트 등 새정부 경제성장전략도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