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대통령 무시하다가 비극적 최후... 어느 공범의 죽음
2024-09-07 20:09:04
김종성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해방정국 하의 좌우대립에서 우파는 주로 친일보수세력으로 구성됐다. 그런데 보수 성향을 갖고 독립운동을 했던 사람들과, 독립운동을 했지만 이북 정권이 싫어 월남한 사람들도 친일보수세력의 영향권에 들어갔다.

이북 출신 김성주도 그런 부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했다고 기술된 백과사전도 있다. 이런 이야기가 언론보도에도 나온다. 가족사진과 함께 실린 특집 기사인 1991년 3월 29일 자 <한겨레> '발굴 한국현대사 인물 63: 김성주' 편은 "해방 전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말한다. 그렇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제헌 의원을 지낸 김인식 씨는 '독립운동과는 거리가 멀었다'고 증언한다"고 이 기사는 덧붙인다.

이승만을 무시한 김성주


3·1운동의 해인 1919년을 전후해 평안북도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김성주는 해방 뒤에 남쪽으로 내려온 다음, 미군정을 돕는 극우 청년운동에 가세했다. 미군정은 독립운동가들이 주축인 이남 좌파진영의 영향력에 부담을 느꼈다. 그런 미군정이 이북 출신 청년들을 행동대원으로 영입할 때 그도 가담했던 것이다.

그는 평안청년회 창립을 공동으로 주도했다. 훗날 이승만 정권하에서 내무부 치안국장과 교통부장관 등을 지내게 될 문봉제(1915~2004)와 함께 이 단체를 만들었다. 창립대회 사흘 전에 발행된 1946년 5월 4일 자 <대동신문> 2면 우상단은 "평안남북도를 기반으로 한 청년동지 8백 명의 결합체로 평안청년회를 결성"하게 됐다고 전했다. 김성주와 문봉제가 대외적으로 내세우는 지지 세력의 규모가 그 정도 됐던 듯하다.

평안청년회는 박정희의 형인 박상희의 죽음으로 유명한 '대구 10월 항쟁'을 계기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더 막강한 극우세력을 만들지 않으면 좌파를 막아내기 힘들었던 당시 상황에서 그는 이북 청년단체들을 서북청년회(서북청년단)로 결집하는 일에 참여한다.

2014년에 <숭실사학> 제33집에 실린 윤정란 케임브리지대학 연구원의 논문 '서북청년회 출신들의 정치적 배제와 부활'은 서북청년회의 결성 배경 중 하나와 관련해 "10월 1일 대구인민항쟁이 일어나자 이에 대항하기 위한 반공세력의 결집이 시급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기술한다.

서북청년회는 1946년 11월 30일 결성됐고, 김성주는 부위원장단에 들어갔다. 이남의 친일보수진영이 좌파 독립운동진영을 독자적으로 상대하기 힘들던 시절에 극우 행동대원이 된 그는 미군정을 돕고 뒤이어 이승만을 도우며 이남 사회에서 기반을 굳혀 나갔다.

그는 이승만 정권 핵심부와 관련을 맺었다. 이승만의 수족으로 지칭될 정도였다. 백범 김구 암살(1949.6.26.)의 모의에도 가담했다고 알려져 있다. 위 <한겨레>는 송남헌 등의 <전환기의 내막>을 근거로 "신성모 국방장관, 채병덕 육군참모총장, 김창룡 소령, 김성주 서북청년단 부위원장 등의 8·8구락부에서 김구 암살 모의를 했다는 기록도 있다"고 언급한다.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