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 가족들이 병원비 때문에 발을 동동거리는 모습이 한때는 TV 드라마에 자주 등장했다. 돈이 없어 수술을 받지 못하는 환자는 병상에 누워 있고, 원무과 직원이나 간호사는 환자 가족에게 병원의 입장을 설명하는 장면들이 많았다. 가까스로 뭉칫돈을 구한 환자 가족이 숨을 헐떡거리며 병원 로비에 나타나는 장면도 적지 않았다.
지금도 병원비 때문에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많지만, 적어도 위와 같은 장면들은 더 이상 드라마에서 흔하지 않다. 2005년부터 시행된 '암환자 본인일부부담 산정특례제도'에 따라 환자 본인의 부담률은 5%로 낮아졌다. 병원으로서는 설령 5%를 받지 못하더라도 국가로부터 95%를 받을 수 있다.
건강보험제도 시행은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어우러진 결과이지만, 이 제도가 정착하는 초기 과정에서 헌신적인 역할을 한 의사가 있다. '한국의 슈바이처'로 불렸던 장기려가 그 주인공(1911~1995)이다. 그가 세상을 떠난 다음 날인 1995년 12월 26일, 언론들은 '장기려 박사 별세 한국의 슈바이처'(<매일경제>), '한국의 슈바이처 장기려 박사 별세'(<동아일보>), '인술(仁術)의 한평생 한국의 슈바이처'(<조선일보>) 등의 부고 기사를 내보냈다.
의료보험법이 처음 제정된 것은 1963년 12월 16일이지만, 제도가 실제 시행된 것은 훨씬 뒤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이 펴낸 <한국 건강보장 근대사 연구>는 "1964년과 1969년 두 차례에 걸쳐 시행령만 제정 또는 개정했을 뿐 의료보험제도를 실시하지는 못하였"다고 기술한다. 전국민 의료보험제도가 시행된 것은 서울올림픽 이듬해인 1989년이다.
의료보험법이 제정되긴 했지만 제도가 시행되지 않던 시기에 과감하고 헌신적으로 뛰어들어 제도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온몸으로 실증한 인물이 바로 장기려다. 그가 주도한 조직이 부산의 청십자의료협동조합이다. 위 책은 "23개 교회 대표자들이 참여하여 1968년 5월 13일 723명의 회원으로 부산시 동구 초량동 500번지 복음의원 안에 위치한 부산청십자의료협동조합을 설립하였다"고 기술한다.
이 조합의 회원 수는 급속히 늘어났다. 2003년에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나온 황우선의 석사학위논문인 '장기려의 생애와 기독교 신앙'은 조합 설립 6년 뒤인 1974년에 회원 수가 1만 5천을 넘고 그 뒤에 20만을 돌파했다면서 "부산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었고, 부산시민의 의료보험조합 역할을 하였다"고 말한다.
장기려는 이 제도가 한국 제2의 도시에서 성공을 거둬 전국적 시행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산파 역할을 했다. 자신이 직접 환자들을 치료하는 것은 물론이고 회원 모집을 위해 지역 교회들을 찾아다니며 설득전을 벌였다. 정부나 공공기관이 해야 할 일을 그와 동료들이 선구적으로 수행했던 것이다.
이들이 의료보험조합을 성공시키는 모습을 보면서 정부와 여타 지역이 자신감을 얻고 제도 시행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장기려와 동료들의 희생과 헌신이 없었다면, 암 환자 가족들이 발을 동동거리는 모습이 좀 더 오랫동안 드라마에서 묘사됐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