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LG그룹 만년 상무를 전무로 승진시킨 결정적 질문, 이렇게 나왔다
2025-04-27 13:36:52
이정환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세미콜론(; 쌍반점) 옆에 따옴표. 책 표지 문장 부호들이 오히려 호기심을 자극했다. 세미콜론은 일반적으로 앞서 문장에 이어 인과관계 등에 대한 설명을 계속하려고 할 때 쓴다. 세미콜론 위에는 "차가운 AI보다 따뜻한 당신이 이긴다"는 서술, 그리고 따옴표 안에 책 제목 '공감 지능 시대'가 자리하고 있다.

결국, AI시대에서는 따옴표 안의 '어떤 말'을 하면 좋다고 읽혔다. LG그룹에서 최초로 여성 CSO(최고전략책임자)를 역임한 김희연 전 LG디스플레이 전무가 최근 내놓은 책, <공감 지능 시대>(이든하우스)에 대한 첫 인상이다.

'공감 지능'이라는 알 듯 모를 듯한 용어에 대한 이해를 잠시 뒤로 하고 저자 소개를 봤더니, 어느 학교를 나왔고 등등의 소개는 없었다. 그보다 저자는 "유리 천장은커녕 시멘트 천장이라 불렸던 시대를 살았다"거나 "일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가 비난받지 않고 성과만으로 평가받는 환경을 찾아 은행원에서 애널리스트로 변신했다"는 등 서술로 자신을 소개하는 방식을 택했다.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었다.

공감지능 또는 역지사지


목차에서 마주한 소제목들도 '역발상'에 해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모르는 것을 대하는 태도가 경쟁력을 만든다"거나 "기회는 불이익이라는 옷을 입고 온다" 또는 "의도된 불편은 새로운 의미를 낳는다" 등이 예다. 각각의 소제목에 담긴 글은 대부분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일종의 성장사이기도 한 셈이다.

"나는 흔히들 말하는 '정석적인 직장인의 길'과는 다른 길을 걸었다."

저자가 자신의 성장 동력에 대해 프롤로그 첫 문장에서 던진 힌트다. 그는 "한 우물만 파는 것이 미덕이었던 시절에 전공이나 경력과 전혀 다른 분야로 세 번이나 업종을 전환했다"며 "20대에는 영문과 출신 은행원으로 자금을 다루었고, 30대에는 증권사에서 문과 출신 IT 애널리스트로 활약했다"고 전했다. 금융권 출신이 제조회사로 전직하며 40대에 이르는 내내 "어디를 가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했다.

저자에게 전문성 부족은 약점이 아니라 성장의 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가 아니었기에 오히려 더 근본적인 것을 보려 했다"는 것이다.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이종 분야를 연결짓는 것이 창의적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중 하나라는 '정설'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저자는 "한 분야만 본 사람에게는 당연한 것이 나에게는 낯설었고, 그래서 오히려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운이 따랐다"고 했다.

하지만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과 이를 현실에 적용시키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사람은 낯섦을 반기기도 하지만 꺼리기도 하는 존재다. 어떤 조직 안에서 새로운 생각을 현실화하기 쉽지 않은 것도 그래서다. 미스 커뮤니케이션으로 끝나기 일쑤다. 저자는 "그들의 관점에서 문제를 이해하고 그들의 원하는 것과 불편을 읽어내려고 노력했다"며, 그러다 보니 "내 성공의 핵심은 사람을 들여다보고 공감하며 답을 찾아가려는 태도에 있었다"고 전한다. 역지사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공감 지능 출발점은 '왜?'... 만년 상무를 전무로 만든 그 질문


그 출발점, 저자에게는 "끊임없이 '왜'에 집중하는 것"이다. 저자가 정의한 공감 지능, "정서적 가치를 읽는" 행위의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 외면 또는 손가락질 등으로는 역지사지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답을 얻는 과정을 통해 공감이 가능하고 또 그래야 함께 답을 찾는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LG디스플레이) 만년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시켜 준 전화 한 통"이 그 예다.

"평범한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TV 파는 곳을 알려줄 수 없냐는 문의였다. 팀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비슷한 전화를 여럿 받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우리는 TV 세트용 패널을 만드는 부품 회사인데 왜 우리에게까지 전화가 올까? 이 작은 질문이 나를 전무로 승진시켜 준 계기가 되었다."

왜 그런 문의가 자신에게까지 도달했나 따져봤던 것은, "코로나가 발발하며 세상도 멈췄다"고 느꼈던 2020년 봄이었다고 한다. "TV 수요가 늘어날 거라는 판단은 시대에 역행하는 것과 다름없었다"는 그 때, 저자와 동료들은 구글 트렌드와 오픈 서베이를 통해 TV 구매 검색량이 수 십 배 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한다.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