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으로 콘텐츠 창작을 고민한 3년 전, 누군가 나에게 콘텐츠를 만들어보라고 했다면, 아마 이런 반응을 보였을 것이다. 인터넷에서는 "요즘은 개인 브랜딩 시대" "콘텐츠로 먹고 사는 시대"라고 하는데, 정작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전혀 감이 오지 않았다.
'거창함'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실제로 콘텐츠 시장은 거대하다. 한국저작권 위원회가 발간한 지난해 11월 이슈 브리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콘텐츠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장 규모는 2023년 1276억 달러에서 2030년 5283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국내만 해도 8조 원 규모라고 한다.
"유튜브를 해야 하나? 인스타그램을 해야 하나?"
무언가를 해보려고 했을 때 어떤 플랫폼을 선택해야 할지도 혼란스러웠다. 나같은 내향인에게 유튜브는 카메라 앞에서 이야기한다는 게 부담스러웠고, 인스타그램은 막상 어떤 사진을 찍어야 할지 막막했다. 내 일상이 과연 남들이 보고 싶어할 만큼 특별한가 의문이 들었다.
결국 내 선택은 '블로그'였다. 한글만 쓸 줄 알면 되니까. 글쓰기가 그나마 부담이 덜할 것 같았기 때문이다. 2021년 6월 네이버 블로그를 개설하고 첫 포스팅을 써보려 했지만 "안녕하세요" 다음 문장부터 막혔다. 무엇을 써야할지 몰랐고 한 달 넘게 빈 블로그만 보고 시간을 보냈다(콘텐츠에 대해 본격적으로 공부한 것은 퇴사 이후여서 콘텐츠 크리에이터 기간에 포함하지 않았다).
그때 나는 콘텐츠에 대해 큰 오해를 하고 있었다. '콘텐츠는 특별한 사람들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한국전파진흥협회의 2022년 1인 미디어 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연령 분포 상 30대가 43.9%로 가장 많고, 40대도 22.6%나 된다. 나 혼자만의 고민이 아니었던 것이다.
내가 콘텐츠를 어렵게 생각했던 가장 큰 이유는 거창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뭔가 대단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전문적이어야 하며,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요리 콘텐츠라면 셰프 수준의 레시피를, 육아 콘텐츠라면 전문가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여행 콘텐츠라면 세계 각지를 누빈 경험을 가져야 한다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