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신문고뉴스
정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 40% 돌파...핵심 시스템 대구 이전”
2025-10-14 00:38:00
김성호 기자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신문고뉴스] 김성호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율이 40%를 돌파했다.13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복구 현황과 향후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행정안전부 제공)

이날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은 회견에서 “전체 709개 시스템 중 금일(13일) 12시 기준으로 260개, 오후 9시 기준으로는 284개(40.1%)가 복구됐다”며 “1등급 40개 중 31개가 정상 가동 중이고, 나머지 9개 시스템은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복구가 완료된 시스템에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다만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통합보훈 시스템 등 주요 1등급 시스템 9개는 여전히 미복구 상태다.

김 차관은 “국민 여러분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주말 동안 기존 복구 인력 700여 명 외에 장비 제조사 복구인력 80여 명을 추가 투입해 작업에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화재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7전산실과 7-1전산실의 복구는 상대적으로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이에행안부는 이들 전산실의 일부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하고, 나머지는 대전 본원 내 다른 전산실(56전산실) 로 재배치하기로 했다.

김 차관은 “현재 기준 대구센터로 이전할 대상 20개를 선정했으며, NHN·KT·삼성SDS 등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와 소관 부처 간 협의를 완료한 일부 시스템은 이미 이전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국정자원관리원 이재용 원장은 “장비를 원래 상태로 복구할 수 있으면 데이터 복구가 빠르지만, 불가능할 경우 백업 데이터를 이용해야 해 시간이 더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지금은 복구에 속도를 내야 할 시점”이라며 “정부는 ‘안전·보안·신뢰’의 3대 원칙 아래 신속하고 성공적인 복구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국민의 생활과 직결된 민원·행정 서비스가 하루빨리 정상화될 수 있도록 전 부처가 협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경찰청 역시 화재로 인한 데이터 관리 문제를 계기로 112, 형사사법포털(KICS), 교통민원24(TCS) 등 주요 시스템의 재해복구(DR) 체계를 재점검하고 보강하기로 했다.

이번 화재는 지난 9월 26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배터리 교체 중 발생해 7-1전산실을 전소시켰다.

국정자원은 중앙정부 대부분의 전자행정 시스템이 운용되는 국가 데이터의 핵심 인프라로, 복구 속도와 안정성이 행정 신뢰도에 직결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남은 시스템에 대해 10월 말까지 부분 복구, 11월 초 안정화 단계 진입을 목표로 잡고 있다.김민재 차관은 “국민 여러분의 인내와 협조에 깊이 감사드리며, 끝까지 책임 있게 복구를 완료하겠다”고 말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화재 #행안부브리핑 #김민재차관 #대구센터이전 #국민신문고 #시스템복구 #정부데이터복원 #국정자원대전본원 #윤호중장관 #디지털행정안전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