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구속된 친일파의 병보석 아이디어
2025-01-26 19:38:37
김종성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한국 친일파들의 건강이 언제 가장 약했는지를 기록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이 건강 문제를 가장 많이 호소하고 이것이 대중의 뇌리에 강한 인상을 남긴 시기는 1949년 상반기다. 그해 2월 15일 자 <경향신문> 내용이다.

"지난 7일 중추원 참의 박중양이가 기관지 페염으로 보석된 후, 10일에는 방의석이가 심장병으로, 12일에 이르러는 김우영이가 당요병으로 서울 세부란스병원에 입원하였다 한다. 이로써 체포된 반민자 중 세 명이 보석된 세음인데, 14일에는 이승우에 대하여서도 심장염 재발이라는 이유로 그의 안해가 보석을 신청하여 왔고, 동일(同日) 박흥식도 대장병이라고 진단서를 제출하였다 한다."

반민자(反民者)로 불리는 친일파들이 건강을 핑계로 대는 일은 계속해서 문제가 됐다. 4월 22일 자 <경향신문>은 전날 보석으로 출소한 박흥식을 거론하면서 "반민자의 칭병 보석이 잦아서 의아와 실망의 탄(嘆)이 없지 않더니 필경에는 터지고 말아"라고 탄식했다.

이런 현실을 보다 못한 서울 상도동의 강(康) 아무개는 6월 3일 자 <경향신문> 독자 투고를 통해 "반민 피의자는 끄덕하면 '신병(身病)이니 보석한다', '노쇠이니 보석한다', '도주 염려 없으니 보석한다' 함은 실로 가증한 일"이라고 평했다. 그는 자신도 3·1운동 뒤에 평양감옥에서 병을 앓았지만 5~6개월간 그대로 갇혀 있었다면서 "어떤 애국자는 중병에 걸려 보석을 청해도 보석은커녕 옥사(에)도 시체도 곧 안 내주었"다고 탄식했다.

평양감옥의 그 애국자는 보석 신청을 거부당했음은 물론이고 순국 뒤에도 한동안 감옥을 나가지 못했다고 한다. 그에 반해, 국회 반민특위의 친일청산 작업이 활발했던 1949년 상반기의 친일파들은 이런저런 병을 핑계로 감옥문을 열고 나갔다. 친일파 체포·구속이 대대적으로 단행되고 그중 상당수가 병을 핑계로 빠져나간 이 시기에는 친일파들의 건강이 기록상으로 역사상 최악이었다.

이때 심장이 안 좋다며 보석을 청구한 위 신문 기사 속 방의석은 인체기관 중에서 심장과 연관될 만한 친일 발언들을 남겼다. 총독부 기관지인 1942년 5월 11일 자 <매일신보>에 따르면, 그는 한국인에 대한 징병제 실시를 찬미하면서 "감격에 견디지 못하겠다"고 강조해서 말했다. 그냥 '감격했다'고 하면 될 것을 '감격에 견디지 못하겠다'고 특별히 강조했기 때문인지, <매일신보> 편집부는 기사 제목을 '오직 감격에 불감(不堪) - 방의석 중추원 참의 담(談)'으로 잡았다.

<친일인명사전> 제2권 방의석 편에 따르면, 그는 중국 북부 및 중부에 가서 일본군을 위문한 경험을 1941년 3월호 <삼천리> 기고문에 담았다. 여기서는 "나는 그동안 북지(北支)·중지(中支)를 황군 위문의 여행으로 약 1개월 동안 다녀와서 그 400여 주 넓은 벌에서 창건되어 가고 있는 신동아의 새 광경을 감격으로서 목도하고"라고 썼다.

지원병 참여 독려도 하고 친일 기고문도 써


일제를 지켜보며 감격을 많이 한 방의석은 일본군이 조선 땅에서 청일전쟁을 일으킨 이듬해인 1895년에 함경남도 북청에서 출생했다. 북청 극명학교 보습학과를 졸업한 지 10년 뒤인 1921년부터 그가 일관되게 걸은 것은 사업가의 길이다.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