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랑카는 헌법 제9조에 따라 불교국가이며, 현재 상좌부불교의 종주국이다. 상좌부불교는 기원전 4세기 근본 분열로 인해 생겨났다. 석가모니 부처 입멸 후 100년쯤 지나며 계율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개혁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불교계의 장로들은 젊은 개혁파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결과 장로 중심의 보수파는 상좌부가 되었고, 젊은 승려 중심의 진보파는 대중부가 되었다. 상좌부불교는 스리랑카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전해졌고, 대중부불교는 파키스탄 지역을 거쳐 티벳과 중국으로 전해졌다.
스리랑카가 상좌부불교의 종주국이 된 건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인도에서 힌두교와 이슬람교에 밀려 불교가 쇠퇴했기 때문이다. 종교는 정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는데, 4세기에서 6세기까지 인도를 지배했던 굽타왕조에서 힌두교를 국교로 삼았기 때문이다. 7세기경 힌두교가 황금시대를 맞이했고, 불교가 쇠퇴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7세기 후반 바닷길로 인도에 가서 10년, 동남아시아에서 15년을 살고 돌아와 <대당서역구법고승전>을 쓴 의정(義淨: 635~713) 스님은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그곳(인도)을 찾아가는 사람은 반백 명에 가까웠으나, 정작 거기 머물러 있는 사람은 고작 몇 사람뿐이다. 간혹 서쪽 나라에 도착할 수 있었던 사람들도 당나라처럼 사찰이 없기에 마음 놓고 머물며 손님이 되어 수행할 만한 곳이 없었던 까닭에 여유를 가지지 못한 채 여기저기로 옮겨다녀야 했다. 한 곳에 오래 머물러 있기가 힘들어 몸이 편안하지 못하니 어찌 수행에 열중할 수 있으리오."
1197년부터 1206년 사이 인도불교의 상징과도 같던 나란다 사원이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가즈나비 왕국의 군대에 의해 파괴된다. 그리고 1526년 무굴제국이 등장하면서 이슬람교가 점진적으로 힌두교에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불교는 아주 소수 종교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에 비해 스리랑카로 간 상좌부불교는,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는 국교가 되어 번성할 수 있었다. 기원전 88년에는 알루비하라 석굴사원에서 부처님 말씀과 그 제자들의 가르침이 팔리어로 기록돼 패엽경이 만들어졌다. 이것이 스리랑카가 상좌부 불교의 종주국이 된 두 번째 이유다.
패엽경은 경율론 삼장으로 이루어졌다. 이중 경장이 아함경으로 번역되고, 다섯 개 니까야로 구별되었다. 디가(장아함), 맛지마(중아함), 상유타(잡아함), 앙굿따라(증일아함), 쿠다카(잡아함). 이 팔리어 경전이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로 전해져 불교 신앙의 토대가 되었다. 5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팔리어 경전이 미얀마 이라와디강 중상류에 있던 퓨(Pyu)왕국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스리랑카 불교사의 중요 사건과 불교 문화유산
스리랑카의 불교 문화유산을 찾아 6일 동안 돌아보면서 스리랑카 상좌부불교의 역사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스리랑카 불교사의 중요 사건을 되돌아보고자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후 불법을 전하기 위해 스리랑카를 세 번 방문했다고 한다.
그 흔적이 스리랑카에서 가장 높은 산인 스리 파다(Sri Pada)에 발자국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켈라니야 사원의 탑이 있는 곳에서 부처님이 설교를 했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은 스리랑카의 고대사를 팔리어로 기록한 역사서 <마하반사(මහාවංස)>에 나온다. 그러나 이들 이야기는 전설 수준이어서 다 믿기는 어렵다.
공식적으로 스리랑카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기원전 247년이다. 아쇼카왕의 아들 마힌다 아라한이 미힌탈레에서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데바남피야 팃사 왕을 만나 설교를 하고 불법을 전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 결과 불교가 왕족을 중심으로 받아들여져 전체 사회로 전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