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KBS는 3.1운동․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특별기획 <나의 독립 영웅>을 시리즈로 내보냈다. 그해 5월 7일 KBS가 72회차로 조명한 인물이 엘라수 와그너(한국 이름: 王來)였는데, 미국인이 어떻게 대한민국의 독립 영웅으로 묘사되었는지 궁금해한 사람들이 많았다.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태어난 엘라수 와그너(Ellasue C. Wagner, 1881∼1957)는 1904년 선교사로 우리나라 송도에 와서 최초의 기숙 여학교인 호수돈여학교(현 호수돈여자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1906년과 1938년에 각각 제2대, 제4대 교장을 역임했다. 그녀는 1915년 교훈을 '남을 위해 살자'로 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의 독립 영웅> 다큐멘터리를 보면, 와그너 교장은 학생들에게 자기의 삶을 스스로 개척하는 '자립 여성'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힘주어 강조했는데, 이러한 교육철학은 항일 정신의 씨앗이 된 것으로 보인다. 1919년 호수돈여학교에 항일 비밀결사대가 만들어졌고, 재학생들은 같은 해 3월 3일 개성에서 독립 만세운동을 일으켰다. 학생들을 따라 개성 시민 1만여 명이 동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경찰은 만세운동을 벌인 학생들을 무차별 연행하였는데, 와그너 교장은 "책임은 나에게 있으니 나를 구속하고 학생들은 모두 돌려보내 달라"라고 말했다고 한다. 독립운동가를 양성하는 학교의 교장으로 낙인이 찍힌 와그너는 태평양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인 1940년 일본에 의해 미국으로 강제 추방되기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