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에서 열린 방송·통신 분야 청문회에서 유심 해킹 사태와 관련한 질의에 답하고 있다. © 신선혜 기자 |
[미디어이슈=신선혜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이용자 유심(USIM) 정보 등이 탈취된 해킹 공격과 관련해 “통신사 역사상 최악의 해킹 사고라는 점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회의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번 사건이 통신사 역사상 최악의 해킹 사고라는 데 동의하느냐”는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박 의원이 이어 “일단 도저히 털릴 수 없는 게 털렸기 때문에 그런 것인가”라고 묻는 데 대해서도 “예”라고 대답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해킹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 홈 가입자 서버(HSS) 3대 외 서버가 절대로 털리지 않았음을 100% 말할 수 있느냐고 묻자 “민관합동조사단 결과가 나와 봐야 알 것 같다”고 했다.
이 의원은 “이번 해킹이 폐쇄망 안에서 이뤄진 것인데 물음표가 생기는 점은 폐쇄망 안으로 들어간 해커가 유심 정보만 털었을까 하는 것”이라며 “가상사설망(VPN) 취약점을 이용해 해커가 1년 정도 침투했을 공격 가능성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유 대표는 이 자리에서 다음 달까지 유심 재고를 600만 개 확보한 데 이어 6월 말까지 500만 개를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번 해킹 사고로 이용자가 계약을 해지할 경우 위약금 납부 면제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원들 지적에 “종합적으로 검토를 해서 확인해 드리겠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아울러 유 대표는 “이번 사태와 관련한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도 했다.
한편 전날 기준 SKT 유심보호서비스는 누적 1057만명이 가입했다. 유심교체는 70만5000개가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