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휴식은 특권이 아니다, 저항이다
2024-11-24 11:45:44
최문희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주말에요? 아무것도 안 했습니다. 이불 밖은 위험하니까요."

이런 사람이 있을까? 휴일 내내 놀았다고 말하는 사람을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스터디를 비롯해 요가, 헬스를 다니거나 산을 탔거나 가족 행사를 '클리어'했다는 이야기. 혹은 일주일 내내 격무에 시달린 끝에 몸살로 몸져누웠다는 뼈아픈 이야기까지.

그건 나에게도, 대다수 직장인에게도 해당하는 이야기다. 그런데 최근 한 권의 책을 만나고 처음 이 질문을 품게 되었다. '왜 주말에까지 나의 건실함을 증명하고 있을까?' 모두가 바쁜 사회기도 하지만, 친밀한 사이가 아니고선 흥청망청 놀았다는 말을 타인에게 잘 털어놓지 않는다. 휴일에도 자기개발을 게을리 하지 않는 '갓생'이 현대사회 표준이 된 건 오래전 일이니까.

한 번쯤 떠올려보면 어떨까. 일요일, 요양보호사는 어떤 아침을 맞이했을까. 목사나 배달 라이더는, 고공농성 중인 노동자는 어떤 하늘을 보았을까. 그동안 사명을 다하며 살아가는 직업인들이 쓴 책을 탐독해 오면서 어쩌면 나는 한 가지를 놓쳤겠다.

긍지와 책임감으로 자기 일에 헌신해온 사람들을 노동을 행하는 존재로 국한해 바라봤다는 것. 그 존엄에 기대어 변방의 직업군에서 고투한 사람의 '기술과 땀'에만 집중해왔다는 것. 퇴근 이후 시간, 어떻게 쉬는가에 대한 이야기는 왜 등한시했을까.

"누워서 읽기를 바란다"는 책


뜻밖의 질문을 선물처럼 안겨 준 이 책은 강력한 주술을 담은 마법서 같다. 시종일관 쉬라는 문장이 등장해서 어느 날은 깜빡 속아 '휴식하라'는 문장을 따라 낮잠에 든 적도 있을 만큼.

그런데 개운하게 일어나서 다음 페이지를 느슨하게 넘기며, 누운 채로 안식에 젖어 완독하게 해준 책 <휴식은 저항이다>는 신학자이자 시인, 공연예술가이자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이 쓴 사회과학 에세이다.

저자는 '낮잠의 주교'로 불리는 인물로, 안전한 장소에서 단체로 낮잠을 청하는 낮잠사역단을 2017년 창립하여 이를 실천해왔다. 해방의 도구로서의 휴식을 널리 알리며 미국 전역에서 지지를 받아온 그는, 이 책에 낮잠사역단을 만든 취지와 선언문을 담았다. 표지를 넘기면 "이 책은 누워서 읽기 바랍니다!"라는 활자가 본문 한복판에 유머러스하게 찍혀 있다.

누군가는 생존하기 바쁜 세상에 낮잠을 잘 재간이 어딨냐며 반문할 수 있겠다.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사람들이나 그런 퍼포먼스를 벌일 수 있다는 편견도 가질 수 있겠다. 그러나 저자 트리샤 허시는 조상 대대로 혹독하게 착취당해온 흑인노예의 후손이다.


그는 가난 속에서 공부했고 투잡 쓰리잡을 불문하고 생존하고자 노동해왔다. 시를 썼고 신학을 전공했으며 결혼 뒤 아이를 출산했다. 그 와중에 생계를 잇기 위해 주 40시간 일하는 저임금 직장에 다니며 출근 아침마다 버스차창 너머 스쳐 지나가는 나무와 새를 바라보는 일에 안도를 느꼈다.

그야말로 보통 사람들과 비슷한 바람으로 살아가던 저자. 어느 날 그는 자신이 '피로의 유산'을 타고 태어났음을 가족으로부터 발견한다. 테러로 인해 난민이 되었던 할머니가 평화를 얻고자 눈을 감고 하루 30분~1시간가량 명상에 잠겼다는 이야기, 백인우월주의 극우 단체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권총을 앞치마에 숨긴 채 농장을 지켰던 증조할머니의 칠흑 같은 밤들의 역사를 알게 된다. 그리곤 삶을 전환한다.

저자의 할머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수천 명이 탈출한 1950년대에 미시시피주를 떠났다. 하루 종일 허리를 구부린 채 목화솜을 따는 흑인이 지천이었던 미시시피주는 흑인의 삶과 노예노동을 상징하는 대표 지역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의 옛 조상들이 견뎌온 불합리한 노동의 역사를 이 책에 복기한다. 그리고 말한다.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