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50년 세월 담긴 아버지 일기장... 경상남도 '역사' 된 사연
2025-02-21 11:39:16
경남도민일보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우리 아버지 때문에 내가 이름을 날리고 있네요."

경남 산청군 차황면 실매리에 사는 송정순(70)씨가 웃었다. 그는 아버지가 무려 50년간 쓴 일기장 49권과 소장했던 책 등을 경남도기록원에 기증했다. 이 사실은 이미 곳곳에 짧게나마 보도됐지만 구체적인 사연은 알려지지 않았다.

송씨의 아버지는 고 송선덕(1930~2014) 선생이다. 송씨는 8남매 중 둘째 딸이다. 연락이 닿아 송씨가 사는 실매마을 집을 찾았다.

떠난 아버지, 귀향한 딸


수도권에서 살던 송씨는 2014년 8월 고향인 산청 차황면 실매리로 돌아왔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직후였다. 그해 6월 20일, 그 날짜는 잊지 못한다. 아버지 소식을 접했다.

"그날 모 심어놓고 논에 물이 있는지 없는지, 저 위 저수지에 아마 물을 보러 가셨나 봐요. 거기에 둑을 쌓아놨는데, 힘이 없으셨는지 잘못 디뎠나 보더라고요. 차후에 가보니까 그 난간에 돌이 깨져서 떨어져 있었어요. 아버지가 떨어진 곳이 높이가 2~3m 정도 됐던 듯해요. 처음에는 못 찾았지요. 전화를 안 받으니까. 온 동네 사람들이 막 찾아가지고 거기에 돌아가신 채 계신 걸 발견했어요."

아버지가 떠나고 혼자 남은 어머니 곁에 있고 싶었다. 아버지는 아픈 어머니를 7년간 보살폈다.

"엄마도 혼자 있으니까 나랑 살고 싶었나 봐요. 요양원에는 안 가고 싶고. 그 이전에 벌써 어머니가 뇌졸중으로 쓰러져 안 좋은 상태였어요. 그러니까 아버지가 7년을 엄마를 모셨어요. 고생하셨지. 정말 고생하셨지요. 아버지가 혼자 힘들기도 하셨나 봐요. 우리가 그런 걸 미처 생각을 못했는데, 그래 고마 체력도 떨어지고 그러셨는지 돌아가셨어요."

딸과 함께 지내며 즐거워하던 어머니 표정도 잊지 못한다. 고향에 돌아온 뒤로 6년 정도가 흐르고 송씨 어머니인 고 박경임(1931~2019) 선생도 2019년 12월 영면에 들었다.

메모광 아버지


아버지는 1965년부터 돌아가신 날 2~3일 전까지도 일기를 적었다. 늘 손바닥 크기만 한 수첩을 가지고 다니며 일상을 기록하는 게 습관이었다. 양복을 자주 입었는데, 안 주머니에 넣기도 좋았다.

"아버지가 일기를 매일 쓰신다는 걸 우리 자녀들은 다 알았지요. 애초 학생 때부터 어딜 가시나 일기장을 가지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는 항상 메모를 하시고 일기를 쓰시고 그런 거예요. 종이가 조금 모자라면 이면지를 붙여 쓰셨더라고요. 꼼꼼하고 정직하셨어요."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