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싱이라는 운동을 새롭게 시작하고 자주 듣는 질문이 있다. "어떻게 채식을 하면서 복싱까지 하냐?"라는 질문이다. 채식만으로는 격한 운동을 할 수 없을 거라는 전제가 깔린 다분히 속 깊은(?) 질문이다. 채식 초기만 하더라도 이런 질문을 받으면 불쾌했지만, 이제는 채식을 접하기 어려웠던 이들이 궁금할 수 있는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웃어넘길 수도 있는 여유도 생겼고 자판기처럼 대답이 툭 튀어나오기도 한다.
신한슬 작가의 책 <살 빼려고 운동하는 거 아닌데요>라는 제목처럼 필자는 건강을 위해 채식과 복싱을 시작한 게 아니다. 특히 아름다운 몸이나 건강한 몸을 만들기 위해, 혹은 나쁜 놈들을 때려잡기 위해 시작한 것은 더욱 아니다. 그저 '잠깐' 체력을 끌어올리려던 목적이었다.
그런데 어쩌다 보니 2년이 다 되어가도록 꾸준히 복싱 체육관에 나가고 있고 어느새 생활복싱대회도 나가고 주말에도 복싱 스파링을 한다. 복싱이 재밌기 때문이다.
코로나 시기를 빼고 운동을 쉬어본 적이 없다. 종목을 바꿔가면서도 꾸준히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운동하는 순간이 그저 즐거웠기 때문이었다. 늘 자발적으로 운동을 시작했다. 초등학교 육상부와 축구부에 들어간 것도, 중학교 농구 동아리를 만든 것도, 대학 시절 농구 동호회에 가입한 것도, 성인이 되어서 격투기 체육관에 등록한 것도 말이다.
딱 한 번! 처음은 내 의지가 아니었다. 초등학교 입학 전에 부모님이 등록한 태권도장에 다녔다. 하지만 그게 내 근육의 씨앗이 될 줄은 몰랐다. 몸을 한 바퀴 돌려 뒤돌려차기 동작을 배우면서 내게도 놀라운 신체 능력이 있음을 깨달았다. 이후로 멋진 동작을 하나씩 체득할 때마다 도전하고 성취하는 즐거움을 느꼈다.
비록 무술영화에서 봤던 바람을 가르는 공중 나래차기를 체득하는 데 실패했지만, 다행히도 다리 일자 찢기를 신체 유산으로 남겼다. 성인이 되어서 요가나 필라테스를 수련하지 않고도 일자로 다리를 찢을 수 있는 건 수만 번 다리를 찢었던 사타구니의 수난사(史)가 있었기 때문이다.
운동하는 순간이 즐거운 이유는 몰입하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는 몰랐지만 이제는 왜 운동하는 순간이 즐거운지 알게 되었다. 몰입에 비밀이 있다. 운동하는 순간에는 몰입이 필요하다. 복싱은 발가락부터 손가락, 머리까지 한꺼번에 움직여야 한다. 온몸의 협응력이 중요하다. 흔히 말하는 멀티플레이다. 초기에는 고도로 머리를 써야 한다. 익숙지 않은 동작에 신체 곳곳이 삐걱거릴 수밖에 없는 운동이다. 심지어 숨 쉬는 법까지 조절해야 한다. 집중하지 않을 수 없는 운동이다.
학생 때는 점심과 저녁 시간에 짬을 내서 농구공을 던지며 학업 스트레스를 날려버렸다. 요즘은 복싱을 하면서 샌드백을 '팡팡' 치며 업무 스트레스를 부수어버린다. 샌드백을 치거나 스파링을 하면서 부정적인 감정을 흘리는 땀으로 씻어버린다. 마법에라도 걸린 것처럼 말이다.
운동은 반복할수록 실력이 늘었다. 시간은 참으로 정직했다. 어제와 오늘이 확연히 다른 정도는 아니었지만 한 달 전과 오늘은 분명히 달랐다. 돌이켜보면 운동한 후에 무엇이 부족한지 깨달았고 자연스레 '무엇'을 '어떻게' 훈련해야 할지 깨달았다. 특히 복싱 스파링을 하면 내 공격 자세와 방어 자세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인식한다. 부족함을 인식하고 운동하면 더욱 몰입할 수 있었다.
스파링 종료를 알리는 '땡' 치는 종소리가 귀뿐만이 아니라 생각마저 울린다. 자연스레 바둑에서 복기하는 시간과 같은 시간이 찾아온다. 원투를 뻗을 때 중심이 흐트러지는구나. 방어를 할 때는 가드를 좀 더 올려야겠구나. 결국 러닝머신의 트레드밀처럼 링 위, 샌드백과 거울 앞, 집을 반복하는 복싱 기계가 되어간다.
관절염과 두통이 생겨도, 복싱 또 복싱
이실직고할 게 있다. 복싱이 '건강에 최고'는 아니다. 복싱을 시작하고 관절 부상이 생겼다. 큰 고통이 느껴질 정도는 아니지만 무리라도 하는 날이면 팔목이랑 팔꿈치에 숨어있던 염증이 올라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