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한 영화제의 게스트들과 서울 투어를 했다. 서울을 찾은 감독과 배우, 평론가 등 해외 영화계 관계자들이었다. 상영이 없는 평일 오후엔 경복궁 등 고궁을 구경하고, 주말 저녁엔 이태원의 클럽을 소개해 줄 예정이었다. '주말에 어디 갈 거야?' 젊은 남자 감독이 물었다. 올해 새로 생긴 게이 클럽 중에 어디를 갈지 고민하던 와중에 이미 정보에 빠삭한 그가 "P? G?"라며 먼저 클럽 이름을 물었다.
투어의 목적은 한국 퀴어 문화에 관심 많은 그들에게 이태원 게이클럽을 소개하는 것. 자정 전부터 이태원 해밀톤호텔 뒤쪽의 클럽 거리는 인파로 가득했다. "이곳은 주로 이성애자들이 노는 클럽이고, 게이클럽은 반대쪽에 있어요"라고 설명했다. 한껏 꾸민 성인 남녀들이 술을 마시며 춤을 추고 있었다. 발걸음을 옮겨 이태원 소방서 쪽으로 향했다. 게이클럽이 모여있는 이태원 소방서 사거리와 뒤쪽 골목은 비교적 한산했다. 보통 자정은 넘어야 사람들이 하나둘 모이기 때문이다.
1980년대 이후 게이클럽이 하나둘 생겨난 이태원의 한 언덕길을 '호모힐' 또는 '게이힐'이라 부른다. 게스트들과 그 언덕을 함께 올랐다. 이제 막 영업을 준비하고 있는 클럽과 바의 간판에 불이 들어왔다. 드랙 공연을 하는 곳, 외국인들이 주로 찾는 곳, 20년 넘게 같은 이름으로 운영되는 곳도 있다.
그중 우리가 간 클럽은 게이, 여성, 외국인 모두를 받아들이는 곳이었다. 겉보기엔 허름한 건물이었지만 실내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다. 아무래도 게이를 대상으로 영업하는 곳이 많다 보니, 모두 다 다 함께 즐기고 환대하는 공간은 드물다. 그래서인지 바 쪽의 모니터에는 1세대 걸 그룹 핑클부터 에스파까지 시대를 가리지 않고 케이팝 뮤직비디오가 쉴 틈 없이 흘러나왔다.
사람들과 나는 함께 춤을 췄다. 익숙한 음악을 듣자 몸이 자연스레 반응했다. 옆자리에 앉아 있던 대만 출신 감독은 내게 스마트폰으로 한 영상을 보여줬다. 그는 블랙핑크의 멤버 제니가 지난 10월 샤넬 컬렉션에서 입은 하늘색 니트에 핫팬츠를 코스프레한 채 최신곡 '만트라'를 챌린지하고 있었다. 자신을 '타이완 제니'라고 장난스럽게 소개했다. 'This that pretty girl mantra(이건 예쁜 여자를 위한 주문)'이란 가사처럼 다른 인종, 언어에도 서로 통하는 '끼'가 무엇인지 잘 알 수 있었다.
케이팝과 게이클럽의 전성기
오늘날 이태원의 게이클럽 신은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게이 클럽은 여러 변화를 맞이했다. 코로나19유행 전까지 대형 클럽이 중심이었다면, 현재는 중소형 규모의 클럽이 많아졌다. 소방서 사거리를 중심으로 올해 새로 생긴 클럽만 해도 최소 3개 이상이다. 과거에는 대로변에서 조금 벗어난 호모힐에 근처에 클럽들이 주로 있었다면, 지금은 대로변으로 진출했다.
2000년대 후반 가장 잘나가던 클럽 P가 있을 때만 해도, 한동안 케이팝을 트는 시간은 오전 2시로 정해져 있었다. 케이팝, 특히 걸 그룹의 음악을 공개적인 자리에서 듣고 즐기는 건 암묵적으로 금기시됐다. 내가 느끼기엔 속으로는 좋아하고 있어도 겉으로 티를 내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그 타임마다 무대에 올라가서 커버 댄스를 춘 사람들은 주목을 받았다. 어떤 사람들은 그 시간을 즐기기 위해 클럽을 오기도 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