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문건의 작성자로 알려진 가운데 김용현 참모들이 잇따라 부정적인 진술을 내놓으면서 이에 대한 의문이 커집니다. 참모들 진술뿐 아니라 김용현이 계엄문건을 직접 작성한 당사자가 아닐 거라는 정황도 다수 나타납니다. 정치권 일각에선 대통령실이 관여했을 거라는 의혹에 더해 '김건희 라인'이 깊숙이 개입한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옵니다. 12·3 비상계엄 선포문과 포고령 1호, 국무위원들에게 전달된 문건 등은 내란 사태의 핵심 자료라는 점에서 실제 작성자가 누군지를 밝히는 것은 중대한 과제입니다.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내란 국정조사에서 김용현을 수행했던 김철진 국방부 군사보좌관은 '김용현이 컴퓨터작업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검찰에서 진술한 내용을 재차 확인했습니다. 그는 '김용현이 컴퓨터 화면보호기 비밀번호도 모르는 것 같다'고도 했습니다. 군사보좌관은 국방부 장관의 보고서 대부분을 사전 검토하는 역할을 하는 핵심참모라는 점에서 이런 진술은 사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서 김용현은 헌재 탄핵심판에 출석해 최상목 기재부 장관에게 건네진 문건을 직접 작성했다고 했지만 사용한 워드 프로그램은 모르겠다고 얼버무렸습니다. 컴퓨터 다룰 줄도 모르고, 사용한 적도 없고, 문건 작성 프로그램도 모르는데 계엄 문건을 자신이 직접 작성했다는 진술은 신빙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포고령 봉투에 적힌 '대통령실' 이라는 문구
이런 상황에서 의심이 가는 곳은 대통령실입니다. 21일 김철진 보좌관과 함께 국정조사에 출석한 김용현의 부관인 김으뜸 소령은 김용현이 비상계엄 당일 밤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에게 준 포고령 봉투에 '대통령실'이라고 적혀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김 소령은 김용현이 그 봉투를 계엄 전날부터 들고 다녔다고도 했습니다. 대통령 관여 의심을 더 키우는 대목은 포고령과 국무위원들에게 전달한 문건 내용입니다. 포고령에 담긴 '전공의 처단'이나 최상목 문건에 들어있는 '예비비 확보, 국회 보조금·지원금 차단' 등은 해당 분야를 잘 알지 않고는 포함될 수 없는 내용입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문건에 있는 비판언론에 대한 단전·단수 조치도 마찬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