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단순한 반란 아니다... 부정선거 주장하는 자들의 빅픽처
2025-02-25 09:33:02
임상훈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브라질 대통령이 2022년 대선 패배 후 군부와 결탁해 쿠데타를 모의한 혐의로 기소됐다. 그는 선거 결과를 뒤집고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군 고위 관계자들과 협의했으며, 대법관 암살 계획까지 논의했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이는 단순한 권력 다툼이 아니라 민주주의 근본을 뒤흔드는 중대한 위협이다. 이들보다 불과 2년 전,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패배를 인정하지 않은 채 극우 지지자들을 선동해 의사당 점거를 부추겼다. 흥미롭게도, 트럼프와 보우소나루의 행보는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다.

2021년 1월 6일, 미국 워싱턴 D.C.는 혼란에 휩싸였다. 트럼프를 지지하는 수천 명이 국회의사당으로 몰려가 선거 인증을 막으려 했다. 2023년 1월 8일, 브라질리아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펼쳐졌다.

보우소나루 지지자들은 브라질 국회를 점거하고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의 당선을 인정할 수 없다고 외쳤다. 이는 단순한 시위가 아니라, 극우 정치 세력이 선거 결과를 무력화하려는 시도였다.

트럼프는 극우 단체 프라우드 보이즈와 오스 키퍼스를 사실상 방조하며 민주적 절차를 훼손했고, 보우소나루는 군부와 일부 정치 세력을 등에 업고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 했다.

과거 쿠데타는 무력으로 정부를 전복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20세기에는 칠레, 터키, 브라질, 미얀마 등에서 군부가 직접 나서 정권을 장악한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쿠데타의 형태는 변모하고 있다.

이제 쿠데타는 전차와 총기가 아니라, 법의 틈새를 이용한 교묘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독일의 정치학자 홀레시와 키리아지는 이러한 변화를 분석하며, 군사 쿠데타보다 법적 절차를 악용하는 '소프트 쿠데타'가 민주주의에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극우 운동과 정당이 융합하는 정치 구조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