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바람이 간지럽다. 홍주 가는 길이 뭔지 모를 신명에 살짝 달뜬다. 희망, 새로움, 설렘 같은 정취는 봄이란 계절의 전유물일까. 길에서 풍운아 허균(許筠)이 떠오른다. 내자시정에 임명된 1607년, 홍주목사에 오르려 요로에 청탁했던가 보다. 홍주 출신인 스승 이달(李達)의 영향이었을까.
예로부터 글 잘하는 이의 몫이었으니, 자부심 가득한 그도 내심 기대가 컸던 모양이다. 하지만 벗 '이안눌'의 차지였고, 허균은 부끄러움에 시 한 수를 남긴다.
홍주 고을은 예로부터 글 잘하는 신하를 불러 썼으니 洪州自古用詞臣(홍주자고용사신)
시인 소세양과 정사룡 이름이 그중 가장 뛰어났네. 蘇鄭詩名最絶倫(소정시명최절윤)
검은 인 끈이 오늘 아침 이안눌에게 돌아갔으니 黑紱今朝歸子敏(흑불금조귀자민)
자잘한 재주는 처음부터 남들보다 못하다네. 謏才元是不如人(소재원시불여인)
乞洪陽不得而子敏爲之(걸홍양부득이자민위지) (허균평전. 허경진. 돌베개. 2002. p210)
얼마나 살기 좋은 고을이었으면 직을 탐냈을까. 탄핵과 모함에 수도 없이 관직에서 쫓겨나기를 되풀이했어도, 홍주목사에 오르지 못한 아쉬움만은 시로 남겼으니 말이다.
홍성 나들목을 벗어나자, 졸린 봄 햇살이 아지랑이를 피워올리는 와룡천 건너로 기와집이 번듯하다. 4월 햇살에 검은 지붕 선이 돋보이고, 낮은 산에 기댄 집에선 강한 기운이 뻗쳐온다. 그런데 남향이 아닌 북서향이라니?
이곳은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대파한 항일무장투쟁의 본산이다. 19세기 조선을 뒤흔든 안동김씨 세도가 저 지붕 선에 아직도 남아 있을까? 어린 시절 노비를 해방하고 전답을 나눠줬다는 김좌진 장군 생가다.
인조반정을 일으키고 병자호란 때 강화성이 함락되자 자결한 김상용의 11대손이다. 내포 지역이 올곧은 보수의 본향이란 사실을 저 검은 기와가 묵언으로 알려주는 듯하다.
오늘날 타락한 그런 극우와는 차원이 달랐다. 나라를 구하려는 일념에 재산과 목숨을 아끼지 않았다. 질서와 법률, 전통과 정의를 목숨보다 더 소중히 여긴 '참 보수'였다.
김좌진은 조카뻘인 김복한에게 글을 배웠다. 김복한이 누구던가? 죽으면서 '일본의 패망을 알려달라'는 유언을 남긴 지사다.
을미 의병과 여하정
홍주아문을 지나면 동헌 안회당이다. 동헌 뒤 네모난 연못 안에 네모난 섬이 있고, 그 위에 육각정이 섰다. 절로 시흥이 돋는 여하정(余何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