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이번 광장은 '전환점'" 아직 끝나지 않은 투쟁의 시간
2025-04-12 15:12:15
조용미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내란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 경찰 알박기를 하던 최상목에 이어 한덕수가 헌재에 대법관을 알박기하고 EBS 사장, 인천국제공항보안 사장 등 수많은 알박기를 통해 제2의 내란, 일상적 헌법유린을 획책하고 있다. 파면이 끝이 아니고 탄핵은 사회대개혁의 시작이라는 걸 모르지 않았지만, 안하무인으로 헌법과 국민을 농락하는 저들의 몰염치가 예상보다 심각하다.

일상으로 돌아가려던 우리는 다시 광장을 열기로 했다. '다시 민주주의'다.

춘류(만 25세, 여성, 취준생, 대전 중구)는 그래도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어차피 평생, 죽는 순간까지 투쟁해야 한다는 걸 이번 기회에 확실히 깨달았기 때문에 길게 내다보려 한다. 막연하게 고민하던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광장에서 얻었으니 일단 숨고르기부터 하기로 했다. 물론 이번 주는 세월호 행진이 예정되어 있었으니 참여하겠지만.

2차 남태령-경복궁 집회가 전환점이 되어주었다. 금토일월은 서울로 가고, 화수목은 대전집회에 참여하고 있어서 수요일인 남태령 집회는 원래 갈 생각이 없었다. 그런데 한덕수가 기각되는 걸 보면서 가는 쪽으로 마음을 바꿨다. 버스에서 내리기도 전에 길게 늘어선 경찰들을 보고 그는 철야투쟁을 각오했다. 1차에서 배운 게 있다면 길을 열겠지 했는데, 그들은 배운 게 없는지 트랙터를 "불법탈취"했다.

트랙터를 되찾기 위해 달려간 경복궁에는 더 많은 경찰들이 방패를 들고 스크럼을 짜서 출구를 막고 있었고 경찰버스는 계속 불어났다. 마침 거기는 춘류가 가본 적 있는 대여한복상점거리였다. 길을 아는 그가 사람들을 데리고 뒷길로 달려가는데 골목 여기저기를 경찰오토바이가 누비고 있었다. 초현실적인 광경이었다. 숨이 턱밑까지 차도록 달려 도착한 곳에서는 채증이 끝났으니 즉시체포하겠다는 엄포와 함께 경찰이 와락 들이닥쳤다.

춘류는 그때 알았다. 투쟁현장을 못 떠나겠구나. 일반시민이 없었다면 벌써 다 잡아갔을 것이다. 나 한 사람이 떠나면 동지들이 다친다. 결국 연대만이 살길이다.

"무서웠어요. 정말 무서웠지만, 말도 안 되는 짓을 버젓이 하는 게 더 무서웠어요. 12·3 계엄 이후로 우리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말을 많이 해요."

"관심을 놓을 수가 없어요. 눈을 떼면 죽는 거예요"


그는 2월부터 광장에 나왔다(정확히는 12월 첫 주에도 국회 앞에 갔고 가끔 퇴근길에 잠시라도 대전광장에 들르기도 했지만 그 정도로는 성에 차지 않았기 때문에 무효다). 하필이면 계엄이 일어난 그 주에 이직을 했다. 불행히도 그곳은 주 16시간 이상을 일하게 하고도 최저시급도 제대로 주지 않는 곳이었다. 게다가 대표는 계엄을 옹호하는 가짜뉴스를 떠들어댔다. 과로사 직전이기도 했지만 대표가 사상검증에 가까운 질문을 해대자 그는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회사를 그만두었다. 그동안 탄핵가결집회나 남태령, 한강진 집회에 못 갔던 한을 풀 듯이 그는 매일 광장으로 달려갔다. 극우들 사이에서 일하며 속으로만 외쳤던 것들을 실컷 표출했다. 당장 깃발부터 만들었다.

"깃발을 흔들며 '나 여기 있다'를 말하고 싶었어요. 아무 말 깃발도 있지만, 이왕이면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전하고 싶었죠."

원래 빨강을 좋아했다. 특정정당에 빨강을 뺏긴 게 억울했다. 선거철에는 특히 더 빨강을 피해야 하고 가끔 친구들이 놀리는 것도 서러웠다. 저들에게서 내 것을 되찾아올 때가 되었다는 생각에 '빨강은 혁명의 색이다'라고 정했다. 친구들은 너무 튀어 특정당하지는 않을까 걱정해 주었다. 그는 오히려 보호색이 되어준다고 한다. 강렬한 인상 때문에 빨강만 벗으면 못 알아본단다.

빨강만큼 그는 어릴 때부터 한복을 좋아했다. 곡선을 그리며 길게 한들거리는 특유의 풍성함이 멋스러웠다. 특히 신라시대의 화려하고도 빛나는 한복을 좋아한다. 오랜 시간 국가의 흥망성쇠를 겪었으면서도 한복이라는 고유함을 지켜온 아름다움을 사랑한다. '하늘의 옷'이라 불리기도 하는 한복을 원하는 디자인으로 제작하기 위해 그는 발품을 팔았다. 지금은 단골집이 생겨 좀 더 간편한 소재로 현대화해서 원하는 한복을 마음껏 입는다. 그러려면 따가운 시선쯤은 견디고 당당히 무시해야 한다. 다행히도 광장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해 주고, 나도 입어보고 싶었다는 반응까지 있다. 처음으로 한복 입고 다니길 잘했다고 생각했다.

좋아하는 것을 당당히 드러내는 순간이 차곡차곡 쌓여 한 사람의 정체성이 되고, 나아가 '고유한 나'로 살게 하는 것은 덕질의 힘이자 매력이다.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