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설에 대해선 할 말이 너무 많아서 나는 제대로 시작조차 할 수 없다."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신형철, 한겨레출판
신형철 평론가의 이 말을 나는 지금 한 글자 한 글자 절절히 공감한다. <스토너>를 두 번째 읽은 참이다. 책을 덮은 뒤 가슴 속에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이 차올라 잠까지 설쳤다. 몽롱한 아침일 거라 예상했지만 정신은 또렷하기만 하다. 문학이 나의 오감을 깨우며 살아있으라 한다. 한 문장 한 문장 버릴 것이 없고, 한 장면, 한 인물, 한 대화도 놓치고 싶지 않다. 이 책의 무엇이 이토록 나를 사로잡는 걸까.
교수에서 받은 질문 하나
잘 알려진 것처럼 이 책의 내용은 교수가 된 한 사람의 일생을 담고 있다. 대단한 클라이맥스도 없고, 눈물샘을 자극하는 아픔도 없다. 위대한 성공도 처참한 실패도 이 책은 다루지 않는다. 그런데도 이 책에는 삶에 대한 모든 것이, 문학에 대한 모든 것이 담겨 있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이 말을 내뱉고 나를 물끄러미 바라본다. 나는 문학을 아는가. 문학은 무엇인가. 삶은 또 무엇이란 말인가.
주인공인 윌리엄 스토너는 대학에 오기까지 스무 해 동안 능동적으로 자신의 인생을 산 적이 없는 사람이다. 고독이 무엇인지, 인생이 무엇인지,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을 단 한 번도 던져본 적 없는 이다. 그에게 삶은 일생이라기보다 일상이었다. 흙을 만지고 씨앗을 뿌리고 거두는 성실이 기본인 삶. 그런 삶을 부모처럼 당연히 이어가리라 생각했고, 그 외의 다른 세계에 대해서는 무지했다.
그런 그가 아버지의 권유로 미주리 대학 농과대학을 진학하고 기초교양 필수과목인 영문학을 들으면서 조금씩 달라진다. 아처 슬론 교수가 스토너를 향해 질문을 하기 전까지 스토너에게 문학은 단어의 나열이었다. 그 안에서 무엇을 느껴야 하고, 무엇을 길어 올려야 하는지 그는 알지 못했다.
그럼에도 그는 감각하고 있었다. 이 안에 무언가가 있다는 것. 그것이 과거의 나와 지금의 나를 다르게 한다는 것. 아처 슬론은 셰익스피어의 73번째 소네트(14행으로 이루어진 시)를 읽은 뒤 스토너에게 하나의 질문을 던진다.
"셰익스피어가 300년의 세월을 건너 뛰어 자네에게 말을 걸고 있네, 스토너 군. 그의 목소리가 들리나?" p22 <스토너> 존 윌리엄스, RHK출판
이 질문은 그가 손끝으로 어설프게 더듬고만 있던 감각을 더 날카롭게 벼리는 계기가 된다. 작가 존 윌리엄스는 이 대목에서 오감이 열린 스토너를 무척 섬세하게 그린다. 문학의 질문을 품고 바라보는 세상이 어떻게 달라 보이는지 손 안의 작은 아기새를 다루듯 정성스레 묘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