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이 난분분히 지고 있다. 벚꽃은 눈부시게 피었다가, 허망할 만큼 빨리 사라진다. 꽃이 지기 직전의 찰나는, 언제나 가장 찬란하다. 산다는 것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조차, 꽃은 마지막 순간까지 스스로를 다 태우듯 빛을 쏟아낸다. 그 모습은 생의 끝자락을 품격 있게 수놓는다.
지난 토요일, 태풍급 비바람 예보가 있었지만, 나는 벚꽃의 절정을 놓치고 싶지 않아 서대문 연희숲속쉼터로 향했다. 지하철에서 내려 걸음을 옮기는데, 거리 한복판에서 중년 부부가 얼굴을 붉히며 거칠게 다투고 있었다. 욕설과 저주의 말이 허공을 찢고 지나갔다. 듣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메말라 드는 느낌이었다. 나는 빠른 걸음으로 그 자리를 벗어났다.
잠시 후 숲에 도착하니, 벚꽃은 환하게 만개해 있었다. 세상의 험한 소리를 모두 흡수하고도 아무렇지 않은 듯, 고요히 자신의 아름다움을 펼쳐 보이고 있었다. 한들한들 춤을 추며 내려오는 낙화마저 시처럼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나풀나풀 휘날리는 꽃잎을 볼 때면 떠오르는 문장이 있다.
"이 지상의 모든 아름다운 것은 슬픈 일이나 얼마나 단명하며, 또 얼마나 없어지기 쉬운가! 그것은 말하자면 기적같이 와서는 행복같이 달아나 버리는 것이다."
한국전쟁 때 납북돼 생사를 알 수 없는 수필가 김진섭의 <백설부>에 나오는 이 문장이 벚꽃 낙화와 잘 맞아떨어진 것 같다. 나는 벤치에 앉아 막걸리 한 잔을 따르고, 잔 위로 바람에 실려 온 꽃잎이 하나둘 조용히 내려앉는 모습을 바라보았다. 하지만 아까 들은 말들이 자꾸만 귓가에 맴돌았다. 빗방울이 하나둘 떨어지자, 배낭에서 지필묵을 꺼내고 붓을 들었다. 그리고 써 내려갔다.
觀花美心(관화미심) , 꽃을 보면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 먹향 속으로 스며드는 빗물 자국이 마치 내 마음의 굳은살을 지워내는 듯했다. 그 순간 문득 깨달았다. 글씨도, 말도, 단지 의미를 담는 그릇이 아니라, 마음이 흘러나오는 길이라는 것을. 나는 황금찬 시인의 시 <꽃의 말>을 떠올렸다.
"사람아 / 입이 꽃처럼 고와라 / 그래야 말도 / 꽃같이 하리라 / 사람아."
짧은 시지만, 마음에 오래 남는다. 많은 사람이 외우고, 그 의미를 실천했으면 좋겠다. 이런 마음을 담아 한 자 한 자 붓으로 써 내려갔다. 요즘 우리의 말은 점점 거칠어지고 있다. TV 속에서도, SNS에서도, 심지어 가족끼리도 말은 다정한 손길이 아닌, 날 선 칼이 되어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