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는 그 자체로 정치적이다. 사회는 모든 죽음을 동등하게 애도하지 않는다. 국가가 정의한 '애도할 가치가 있는 생명'만이 사회적으로 기억되고, 공적 공간에 흔적을 남길 자격을 얻는다. 반면, 국가의 기준에서 벗어난 존재들은 삶과 죽음마저 쉽게 지워진다. 이처럼 애도는 불평등하게 분배된다. 국가 권력은 어떤 생명은 가치 있고, 어떤 생명은 무가치하다고 서열화한다. 그리고 이 서열에 따라 죽음의 의미를 해석하고, 추모의 형식을 규정한다.
그러나 사람들의 죽음은 언제나 이처럼 일방적인 규정을 초과한다. 유족과 동료들, 생전에 함께 살아간 이들은 국가가 정한 추모 서사를 따르지 않고, 각자의 방식으로 애도하며 질문을 던진다. "왜 죽었는가?", "누구의 책임인가?" 이러한 질문은 애도의 자리를 곧장 정치적 책임을 요구하는 실천의 장으로 전환한다. 특히 산재사망 노동자의 경우, 죽음의 의미를 둘러싼 권력투쟁은 더욱 분명해진다. 국가와 기업은 그 죽음을 불가피한 사고, 개인의 실수, 위험한 노동의 숙명으로 자연화하거나 개인화하려 하지만, 이는 노동환경의 구조적 문제를 은폐하는 장치일 뿐이다.
기억은 언제나 선택적이다. 어떤 죽음은 기념되고, 어떤 죽음은 잊힌다. 이렇게 사회적 기억은 애도의 가치 판단을 내리는 생명정치권력 아래 재편된다. 그러나 소외된 기억을 복원하고, 제도적 무관심을 고발하는 추모는 그 자체로 정치적 행위가 된다. 특권화된 추모 서사에 균열을 내고, 또 다른 죽음을 막기 위한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떻게 추모할 것인가"라는 물음은 단지 형식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누구의 편에 설 것인가,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바꿔낼 것인가에 대한 정치적 투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