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스타 이영애가 5월 7일 개막하는 연극 <헤다 가블러>로 32년 만에 무대에 선다. 1993년 <짜장면> 이후 줄곧 드라마를 통해 대중과 만나온 이영애의 연극 출연은 현재 연예계의 최대 화두 중 하나다. 이영애뿐 아니라 드라마나 영화에서 주로 모습을 비추던 스타 배우들이 최근 속속 무대에 오르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도연이 <벚꽃동산>으로 27년 만에 연극 무대에 섰고, 김선영은 현재 <그의 어머니>를 통해 7년 만에 관객을 만나고 있다. 이처럼 오랫동안 무대를 떠나있다 돌아온 사례도 있지만, 스타 배우가 연극에 처음 도전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난해 조승우가 데뷔 24년 만에 처음으로 <햄릿>을 통해 연극에 도전했고, 유승호와 샤이니 출신 최민호도 지난해 연극 무대에 데뷔했다.
더욱이 유승호와 최민호의 연극 출연은 일회성에 그치지 않았다. <엔젤스 인 아메리카>로 첫 연극을 선보인 유승호는 다가오는 5월 10일 개막하는 <킬링시저>를 통해 다시 한 번 무대에 선다. 이순재와 함께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에 출연하며 연극에 데뷔한 최민호 역시 올해 <랑데부>로 자신의 두 번째 연극 커리어를 써나가고 있다.
4월 5일 개막한 <랑데부>에는 최민호뿐 아니라 박성웅, 박건형 등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대중을 만나오던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이처럼 매체에서 주로 활약해온 인지도 높은 배우들이 무대에 서는 건 이제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이는 공연예술이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 다양성이 증대되는 긍정적 효과를 낳았다. 점점 규모가 커지는 공연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되기도 한다. 다만 최근 심화되고 있는 티켓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스타 캐스팅이 지목되고, 스타 배우로의 관객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등 한계 역시 뚜렷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스타 배우들의 무대 진출을 보다 심도 있게 들여다봐야 하는 이유다.
무대에 오르는 스타 배우, 그들이 불러온 공연 열풍
스타 배우의 무대 진출은 드라마나 영화 시장이 위축되며 가속화되었기 때문이라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드라마, 영화 시장의 돌파구로 보였던 OTT 시장도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 반면 공연 시장은 매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공연예술통합전상망(KOPIS) '2024년 총결산 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공연 시장은 1조 4537억 원의 티켓 판매액을 기록하며 영화 매출액 약 1조 1945억 원을 앞질렀다. 영화나 드라마만으로는 부족하다는 현실적 제약이 스타 배우를 무대로 이끌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