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오마이뉴스
전두환 기념물 철거가 능사 아냐... 차라리 발로 밟아버리자
2024-12-21 17:49:01
서부원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 트위터로 공유하기
  • url 보내기

군에서 제대하고 막 복학한 여름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1995년, 광복 50주년을 기념해 '암울했던 과거를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운다'는 취지로 당시 국립 중앙박물관으로 사용되던 옛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했다. 김영삼 정부가 추진하던 '역사 바로 세우기' 정책의 일환이었다.

이내 격렬한 찬반 논쟁이 불붙었다. 당장 일제강점기를 대표하는 잔재를 없애는 건 당연한 조처이며, 조선왕조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경복궁을 복원한다는 역사적 의미 또한 작지 않다는 찬성론이 비등했다. 기실 이승만 정부 이래 노태우 정부에 이르기까지 조선총독부 철거 주장은 계속 이어졌지만, 경제적 이유 등으로 보류됐다.

비록 치욕적인 역사일지언정 과거사의 아픈 기억도 보존해 후세에 전승할 가치가 있다는 반대론도 만만치 않았다. 일제의 잔재 청산이라는 대의에는 공감하지만, 식민 지배의 상징적 건물이라는 이유로 조선총독부만 문제 삼는 건 '보여주기식 퍼포먼스'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반면교사의 교훈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당시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구경꾼만 될 순 없어 나름 의견을 냈다. 찬반 주장 모두 합리적 논거를 갖추고 있어, 옳고 그름으로 배척할 문제는 분명 아니었다. 이는 친구들과 만날 때마다 토론의 소재였고, 각자의 인식이 바루어지고 정밀해지는 계기가 됐다. 그렇게 얻은 내 결론은 존치였지만, 정부의 철거 결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50년이라는 숫자가 주는 의미가 너무 컸다. 일제 식민지의 질곡에서 벗어난 지 꼭 반세기가 지났다는 사실을 환기하는 건 정부에 대한 여론의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데 효자 노릇을 했다. 육중한 조선총독부 건물이 폭파되는 모습이 TV를 통해 실시간 중계되면서, 여론은 일제 잔재의 청산이라는 대의가 실현되는 과정이라며 가슴 뭉클해 했다.

기념물 뽑는 일보다 더 중요한 것

뜬금없이 30년 전의 기억이 떠오른 건, 시민들이 뽑아낸 전두환의 기념식수 표석을 지방정부가 다시 가져다 설치했다는 기사를 읽고서다. 알다시피, 전두환은 내란 및 반란 혐의로 대통령의 예우 박탈은 물론, 무기징역까지 받았던 인물이다. 그런 그의 기념물이 버젓이 세워져 있다는 건, 낯부끄러운 일임엔 틀림없다.

전두환의 기념물을 철거하는 건, 30년 터울의 또 다른 '역사 바로 세우기'일 수 있다. 굳이 차이가 있다면, 당시엔 중앙 정부가 주도했지만, 지금은 시민들이 앞장서 응징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민들의 '역사 바로 세우기'를 고작 행정적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지방정부가 슬그머니 되가져 놓았다는 게 얄궂고 민망할 따름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난 전국 방방곡곡에 설치되어 있는 전두환 기념물의 철거에 반대한다. 오해 없길 바라지만, 시민들이 철거한 표지석을 다시 세운 지방정부의 지질한 행태에도 분개한다. 기념물을 없앤다고 해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학살로 권력을 찬탈하고 시민들의 인권을 짓밟은 전두환의 '잔재'가 사라질 리 없다.

전체 내용보기
주요뉴스
0포인트가 적립되었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뉴스조회시 포인트를 얻을수 있습니다.
로그인하시겠습니까?
로그인하기 그냥볼래요
맨 위로
맨 위로